농식품부, 축산 스마트팜에 1029억원 투입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2014년부터 축산 스마트팜 보급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기술을 개발하고, 농식품 부는 설치 농가에 재정을 보조하는 방식이다.


스마트 축산 기술의 핵심은 자동화와 효율화다. 축사의 온·습도 조절, 악취 관리, 가축의 운동량과 체온 측정, 물·사료 공급 등 과정 전반을 자동으로 운영하는 방식 이다. 농식품부는 축산 스마트팜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성 제고 효과를 확인했다.

 

실시간 건강 체크를 위해 RFID 태그를 단 송아지.


한우는 농가당 사육 가능한 마릿수가 120마리에서 150마리로 증가했고, 평균 공태일(새끼를 배지 않은 기간) 이 평균 60일에서 45일로 줄었다. 송아지 폐사율도 평균 10%에서 5%로 감소했다. 젖소는 일일 평균 착유량이 40kg에서 43kg로 증가했고, 평균 도태율은 5%로 1.5%로 감소했다.

 

젖소 역시 평균 공태일이 220일에서 150일로 감소했다. 돼지는 어미돼지 1마리당 이유(젖주기) 가능한 마릿수가 18.7마리에서 25.7마리로 증가했다. 출하 두수도 17.8마리에서 23.7마리로 33% 증가했다. 반면 사료 요구율은 3.5kg에서 3.1kg로 감소했다. 농식품부는 축산 스마트팜 확대를 위해 올해 예산 1029억원을 편성했다. 지난해 (713억원)보다 40% 증액된 금액이다.

 

해당 예산은 축산 농가의 자동 환경제어기, 가축 생체정보 수집장치, 자동 급이기, 로봇착유기, CCTV 등 ICT 장비 구입과 스마트팜 컨설팅에 사용된다. 또한 농식품부는 오는 2022년까지 축산 농가 총 5750호에 스마트팜을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이는 전체 축산 전업농가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스마트팜을 도입한 축산 농가는 2018년 기준 1425호다.

저작권자 © 더바이어(The Buy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