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산업, 노동집약적 구조에서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발전

cover story
미리보는 ‘2019-2020 한국식품연감’

더바이어가 발간하는 한국식품연감이 올해도 식품업계 종사자들을 찾아간다. ‘2019-2020 한국식품연감’은 한국식품산업의 현주소와 미래를 아우르며, 농식품 산업 전반과 품목별 시장 동향을 총망라한다. 식품업계 종사자들과 학계 전문가들에게 한국 식품산업의 현황과 보완점을 들었다.

cover story
Part 1  식품산업의 현황과 전망    
Part 2  가정간편식   
Part 3  건강기능식    
Part 4  외식산업

PART 1  식품산업의 현황과 전망_수입 식품 증가와 대기업 과점 현상 가속화


지난 20년간 식품산업 규모는 지속 성장해 연매출 220조원을 넘어섰다. 종사자 수도 225만명에 달해 국민 25명 중 1명은 식품제조업 또는 외식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식품업의 대기업 과점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어 관련 대책도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성훈 충남대학교 농경제학과 교수에게 식품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들었다.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은 경기 변동 속에서도 성장을 지속했다. 식품제조업과 외식산업의 총 매출액은 2017년 기준 총 218조원으로, 2000년(70조원)보다 3배 이상 증가했다. 같 은 기간 종사자 수도 159만명에서 225만명으 로 대폭 늘었다.  

식품산업, 노동집약적 구조에서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발전 


식품제조업과 외식산업의 매출액은 각각 2000년 34조원, 35조원에서 2017년 90조원, 128조원으로 증가했다. 종사자 수도 각각 1.4 배 증가했다. 다만 이 기간 식품산업 매출액 의 증가율이 종사자수 증가율보다 더 컸다. 이는 우리나라 식품산업이 노동집약적 형태 에서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변해가고 있는 것 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식품산업의 변화는 2가지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데, 하나는 소비자들의 트렌드이고 다 른 한가지는 국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수 입 식품들의 실태다. 먼저 우리나라 식품 소비자들의 트렌드를 파 악하기 위해 소비자의 가구당 식품 소비지출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체 식품 소비 지출액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가구당 식품 소비지출에서 신선식품이 차지 하는 비중은 1990년 62%에서 2017년 30%로 크게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가공식품 지출 비중은 15%에서 20%로 증가했다. 외식 지 출 비중은 23%에서 50%로 급증했다. 이러한 수치는 소비자들의 식품 소비패턴 변 화를 의미한다. 맞벌이 가구 및 1인가구 증가 로 ‘집밥’ 문화는 점점 축소되고 외식과 인스 턴트 식사 문화가 확산됨을 뜻한다. 

그러나 외식 비중의 증가율이 가공식품 소비 증가율보다 훨씬 높은 건 가공식품에 대한 소 비자들의 ‘심리적 저항’이 아직까지 존재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편리하기 때문에 구매는 하지만, 몸에 좋은 음식은 아니라는 인식이 여전히 보편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식품산업의 전반적 성장 속에 두드러지는 변 화는 대기업에 대한 시장 집중의 가속화다. 가공식품업계의 독과점이 심화되면 산업의 효율성이나 식품 안전은 제고될 수 있는 반 면, 독과점 폐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식품 수입액 20년간 6배 증가

국내 식품 총 수입액은 2000년 40억달러에서 2017년 240억달러로 6배 증가했다. 특히 가 공식품 수입 건수의 증가폭이 농·임산물 수 입 건수 증가폭보다 컸다. 가공식품의 부가가 치가 농·임산물보다 더 크고 유통기한도 더 길기 때문이다. 반면 금액은 농·임산물 증가폭이 가공식품 증가폭을 앞질렀다. 단순히 값싼 수입 농산물 이 아닌 고급 수입 농산물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입 식품의 단위당 가격 도 증가하고 있다. 

요컨대 수입식품의 강점이 과거에는 가격 경쟁력이었던 반면 점차 희소 성과 품질 경쟁력으로 대체되고 있다. 수입 가공식품의 품목별 수입 추이를 살펴보 면, 2000년부터 2017년 사이 가장 높은 수 입 증가율을 보인 가공식품은 두부류·묵류 (21%), 식육제품(18%), 김치·절임식품(17%)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두부류·묵류와 김치·절임식품 수 입 증가는 최근 국내에서 중국산 유통량이 증 가한 데 기인한다. 값싼 원료와 노동력으로 생산한 중국산 가공식품들이 우리나라 식품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저가 수 입 식품들의 주요 수요처는 원가 절감을 추구 하는 식자재업체와 식당인데, 최근 빈번히 발 생하는 식품 위해 물질 잔류사건으로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어 관련 대책이 요구된다. 

당류는 가공식품 원료로 많이 사용되는 가공 식품으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수입액이 1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식용유지류 수입액 은 11% 증가했다. 식용유지류는 가정이나 식 당에서 주로 사용하는데, 이 품목의 증가는 튀김, 무침류 반찬과 스낵류, 면류 제품의 생 산량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음료류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0.5% 증가 하는 데 그쳤다. 다류는 4.7% 성장했다. 음료류는 대부분 국내에서 가공하는 음료의 원료 농축액으로 수입하고 있다.

수입 원재료 사용, 사회적 합의 필요 

식품산업은 일반 제조업이나 서비스업과 달 리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식품산업의 역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는 1차산업인 농림축수산업과 동일한 방식으 로 접근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대표적인 이슈가 수입 원재료 사용이다. 과거 농림부가 농림축산식품부로 바뀌고 정책의 외연도 넓어지면서, 정책의 대상도 생산 농가 에서 식품산업계로 확대됐다. 

가공식품 생산을 놓고 본다면, 1차산업 종사자들은 국산 원 재료 사용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반면 식품업 계는 원가 절감을 이유로 이를 마냥 수용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그동안 두 분야의 이해 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했으나, 이제는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소모적 논의를 마무리 지을 시 점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또한 정부는 식품산업 정책을 수립할 때 소비 자의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어느 정도 유연성 있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소비자는 선진국 국민들에 비해서도 식품 안전 문제에 대해 매우 민감한 편인데, 이들의 요구를 모 두 수용할 경우 식품산업계에 큰 부담을 줄 수도 있다. 식품 안전에 관한 정책, 특히 규제 법규를 마 련할 경우 이를 통해 얻게 될 소비자들의 후 생과 업계 코스트를 상호 비교해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저작권자 © 더바이어(The Buy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