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우수 R&D 선정기준, 현장 체감형 중심으로 바꾼다



윤동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이 20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부서 관련사업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윤 정책관은 농식품 분야에서 우수 R&D 성과를 발굴하고, 공유 확산을 위해 현장 체감형으로 우수 R&D를 선정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윤 정책관은 스마트팜 혁신밸리 추진상황과 함께 올해부터 실시하는 현장에서 뽑은 우수 R&D 성과 선정계획, 농촌 현안 해결 리빙랩 프로젝트에 대해 의견을 밝혔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추진상황



지난해 경북 상주와 전북 김제가 스마트팜 혁신밸리로 선정된 데 이어 올 초 경남 밀양과 전남 고흥이 선정됐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정부가 8대 혁신성장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다.

혁신밸리는 청년창업, R&D, 판로개척 기능을 집약해 농업인-기업-연구기관 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거점이 될 것이다. 

윤 정책관은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본래의 혁신밸리 기능, R&D 프로젝트,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이 맞물려서 돌아가야 한다.”며 “혁신밸리 기능 또한 창업보육, 기술개발, 기술검증의 모듬형태로, 농업의 미래에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팜 실증단지에서는 기업·연구기관의 실증 테스트, 빅데이터 분석 검증, 전시·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선정된 지자체별로 혁신밸리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농업인의 건의사항 청취 등 소통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농식품부는 혁신밸리 내 생산단지에서 농산물 과잉생산 등 수급불안을 야기하지 않도록 농민단체가 참여하는 관리위원회 개념의 시스템을 가동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2020년 예산 반영을 통해 스마트팜 지역을 확산할 예정이다.


현장 우수 R&D 선정계획

올해 농림식품 분야 R&D예산은 정부 전체 R&D 20조5천억원의 4.8%인 1조원 정도다. 이중 농식품부가 2239억원, 농진청이 6504억원, 산림청이 1187억원 등이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스마트팜·기능성 식품종자 개발 등 농식품산업의 신성장동력 창출과 가축질병·농기계화 촉진 등 현장문제 해결에 R&D 투자를 집중했다. 

첨단기술 개발ㆍ보급으로 신성장동력 창출, 수출 확대, 가축질병 대응 등에 기여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지난해 15건이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농업분야 R&D는 그동안 투입금액 대비 높은 성과를 인정받아왔지만 아쉬운 부분도 많았다.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 성과 부족과 그동안의 연구가 농업 난제에 대한 굵직한 성과가 부족했다.

앞으로 현장 우수 R&D 선정은 기존의 성과기준인 학술적·기술적 우수성에서 탈피해 현장에서 체감하는 R&D 성과로 선정하게 된다. 윤 정책관은 농식품 분야 현장 취재 경험이 풍부한 농식품부 출입기자단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라며 기자들의 협조를 부탁했다.

농식품부는 오는 9월 27일까지 현장 우수 R&D 성과에 대한 접수를 통해 10월까지 심사와 선정을 거쳐 오는 11월 8일부터 열리는 농업박람회에 선정된 우수성과 10선을 전시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최종 선정된 기술소유인들에게 장관상을 시상하고 현판을 제작·배포한다.


농촌 현안 해결 리빙랩(Living Lab) 프로젝트

리빙랩 프로젝트는 연구자만 진행하는 연구가 아닌 수요자가 직접 참여해 문제를 풀어나가고 결과물을 만드는 개방형 프로젝트다. 지역 문제는 지역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서 풀어야 할 문제라는 점을 고려해 리빙랩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됐다.

2020년부터 3년간 총 326억원의 예산이 리빙랩 프로젝트에 투입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국민이 체감하고 일상생활과 연관된 농업·농촌 현안 문제에 초점을 맞춰 과학기술 기반의 전략적 해결 모델을 구축해 확산시킬 계획이다.

윤 정책관은 현장문제 해결을 위한 역매칭 R&D 활성화 추진 계획도 밝혔다. 이는 농업기술이 필요한 연구주체가 R&D를 먼저 제시하고, 정부가 매칭 비율을 결정해 투자하는 방식이다.

올해는 25억원 규모의 지원 예산으로 15개 이내 생산자단체로 한정하고, 연구기간은 과제별 2년 이내로 정해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더바이어(The Buy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