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분야의 미래 기술 접목 다방면에서 진행 중

차기 대통령은 누가 될지, 그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지, 논란이 뜨겁다. 농업계와 식품유통업계도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야 한다는 여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앞으로 10년간, 농식품 분야에서는 무엇이 바뀌고 어떤 일이 일어날까.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조명하고 있다.




농정원 ‘농식품 빅데이터센터’ 개관

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가 일반화되고 있다. 인공지능, 로봇기술, 가상현실,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이 기존 기술과 융합하면서 모든 분야가 혁신된다는 것이 4차 산업혁명의 요지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소비자의 수요와 소비 트렌드가 크게 변하고, 이에 대응할 공급자들의 방식도 크게 바뀔 수밖에 없다.

농업계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최근 3년간의 정책 대응으로 ‘스마트 팜’ 확대와 ‘6차산업’ 시스템 구축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준비로서는 미흡한 점이 많다.

지난 4월 25일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에서는 ‘농식품 빅데이터센터’를 개관했다. 이 센터에서 농식품 데이터 전수를 조사·분석해 데이터 맵(Map)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잘 활용하면 국민 각자의 취향에 맞는 농촌관광, 농식품 소비 유형별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농정원은 상반기 중 농업·농촌 활성화를 위한 농촌관광·농식품 소비 분야 지능화 모델 발굴을 위해 민간과 데이터 융합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준원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빅데이터는 우리 농업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며, 농식품 빅데이터센터가 농식품 분야 데이터 허브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철수 농정원 원장은 “공공과 민간 데이터의 융복합으로 이루어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부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빅데이터 활용해 생산제품 업그레이드

농정원은 그동안 스마트 팜 확산, 공공데이터개방 등을 추진했다. 4차 산업혁명 시기의 농업계 대응을 엿볼 수 있는 사례이기도 하다.

대표적 사례는 스마트 팜에서 발생하는 농산물의 생육·환경정보를 수집·분석해 기업의 제품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이다. 농가들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우수농가 벤치마킹이 가능하다. 스마트 팜 도입 농가의 경제적효과를 분석한 결과 도입 이전 대비 생산량이 2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의 고용 노동력은 15.4% 절감됐다고 한다.

또 다른 사례는 공공데이터 개방 효과다. 농정원은 33개 공영도매시장의 실시간 가격정보를 취합 공개하고 있다. 충남 부여군의 하종성 농가는 도매시장 가격비교 앱으로 실시간 딸기의 경락가격을 파악해 출하시기와 출하 도매시장을 결정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물론 이 같은 사례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농업계의 대표적 변화로 볼 수는 없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수도 없이 번져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농업계 내·외부 빅데이터를 융복합하면서 일어날 변화는 상상 이상이 될 전망이다.


농식품 미래 대응 방안 심포지엄 활발

(사)한국융복합산업진흥원과 경희대학교 융복합 6차산업 MBA, 중소기업경영자협회가 4월 26일 경희대 경영대학원 오비스홀에서 ‘4차 산업혁명 농식품 미래 대응 방안’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농식품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6차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연관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심포지엄이다. 이 자리에서 권오병 경희대 교수는 농식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영전략을 발표했고, 서범석 한국온실작물연구소 소장은 ICT스마트 팜 적용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농촌기업들의 현장 적용사례로, 이석무 젊은농부들 대표의 ‘6차산업과 농원관광의 융복합’, 박원표동백연구소 소장의 ‘6차산업화 제품의 해외수출 사례’가 발표됐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정부의 정책에 농업의 6차산업화를 접목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주를 이룬 심포지엄이다.

한국융복합산업진흥원은 농식품부 인가 사단법인이다. 농식품 산업과 IT·BT·NT 등의 첨단산업을 비롯해 건강, 생명공학 관련 산업을 융복합해 국가의 신성장 동력을 발굴한다는 표를 갖고 있다.

저작권자 © 더바이어(The Buy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